미분류
SavedStateHandle과 함께 ViewModel의 상태를 저장하자
UI 상태 저장 및 복원의 필요성 안드로이드의 Activity는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언제든지 소멸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길 기대하기 때문에 Activity의 상태를 적시에 보존하고 복원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화면 회전 또는 멀티 윈도우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Configuration이 변경되어도 사용자는 더보기…
UI 상태 저장 및 복원의 필요성 안드로이드의 Activity는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언제든지 소멸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길 기대하기 때문에 Activity의 상태를 적시에 보존하고 복원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화면 회전 또는 멀티 윈도우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Configuration이 변경되어도 사용자는 더보기…
ViewModel이란? ViewModel이란 Android Jepack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본래 ViewModel이란 이름은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 MVVM(Model – View – ViewModel) 디자인 패턴으로부터 파생되었다. MVVM의 관점에서 부르는 ViewModel과 Android Jetpack에 포함된 ViewModel 클래스를 구분하기 위해 흔히 Android Jetpack에 포함된 ViewModel을 Android 더보기…
v1.2에서 추가 된 기능 활동 유지 안함 토글 기능 ( Don’t Keep Activities) Alfred의 Workflow을 이용한 ADB 활용
Annotation Processor 적용 삽질기 – 정동진님 Agenda 프로그래머의 의미 어노테이션의 역사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란? SharedPreferences을 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구현 방법 발표자료 다운로드
MVVM 패턴과 Paging으로 수퍼 빠른 이미지 피커 만들기 – 찰스 Agenda 요구사항 분석 구현에 필요한 기술검토(MVVM, Data Binding, Paging) 핵심 코드 설명 퍼포먼스 비교 발표자료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구직/이직 하기 – 김종찬님 Agenda Resume / CV Coding Test CS Android 최근 프로젝트 리뷰 / 경험한 이슈 발표자료 다운로드
Activity vs Fragment,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프레그먼트(Fragment)를 처음 도입한것은 2011년 2월 에 등장한 Android 3.0(Honey comb, API11) 부터다. 안드로이드 등장 초기부터 함께 했기 때문에 프레그먼트를 모르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어떤 UI/UX를 구현하기전에 의문이 들때가 있다. “액티비티(Activity)와 프레그먼트 더보기…
액티비티(Activity)는 안드로이드의 주요 컴포넌트 중 하나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2007년, 안드로이드가 등장한 뒤로 액티비티간에 데이터(인텐트)를 전달하고, 결과를 처리할 때 개발자는 startActivityForResult()의 호출과 onActivityResult(requestCode, resultCode, data) 콜백호출을 다뤄왔다. 새로운 액티비티 결과(Activity Result) API는 지금까지 해오던 방법을 개선하여 완전히 새로운 액티비티 결과 더보기…
20.07.30 추가내용 MergeAdapter가 ConcatAdapter로 명칭이 변경 되었습니다. MergeAdapter란? MergeAdapter는 20년 4월 1일에 배포된 recyclerview:1.2.0-alpha02에 포함된 새로운 클래스로 여러개의 Adapter를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단일 RecyclerView에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반적으로 Adapter를 구현할 때 여러 데이터 소스를 결합한 형태의 자료구조(ex. ArrayList) 를 가지고 더보기…
안드로이드에서 blur효과 구현하기 : 성능 개선 및 LiveBlurView 구현하기 이번 포스팅은 지난시간에 다룬 Box Blur와 StackBlur편에 이어 세번째 이야기입니다. 스택블러(Stack Blur)는 2Pass 전략을 사용하여 빠른 이미지 프로세싱 시간과 품질을 보장한다. 스택블러 알고리즘과는 별개로 안드로이드에서 조금 더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