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indingComponent 사용하기

DataBindingComponent란? DataBindingComponent는 BindingAdapter에 대한 getter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다.  DataBindingComponent를 구현하는 클래스는 반드시 하나이상의 메서드를 가져야한다. 메서드의 이름은 접두어 get과 @BindingAdapter 메서드를 포함하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의 이름의 합성어여야한다. 예를들어 @BindingAdapter 메서드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의 이름이 ClickBinding이라면 DataBindingComponent구현체가 갖는 메서드의 이름은  getClickBinding()이 된다. 더보기…

ViewStub 활용으로 성능 높이기

ViewStub이란? ViewStub은 사이즈가 없는 보이지 않는 뷰로 런타임에서 늦은 전개(lazy-inflate)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다. ViewStub을 보이게 만들거나 inflate() 메서드를 호출하면 레이아웃이 전개되면서 ViewStub을 대체하기 때문에 ViewStub은 사라진다. 전개된 뷰는 ViewStub의 부모 뷰에 추가 된다. 레이아웃에서 ViewStub을 사용하는 예제를 확인하자. 더보기…

Glide를 사용함에도 trying to draw too large … bytes bitmap 메시지가 나온다면

“Canvas: trying to draw too large(” + bitmapSize + “bytes) bitmap.” 위 메시지가 나오는 상황은 DisplayListCanvas에 100MB이상의 Bitmap을 그릴 때 나오는 메시지다. Glide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메시지가 출력되는것을 확인했다. 이유는 Aspect Ratio가 아주클 때, 예를들어 아주 긴 이미지를 출력할 더보기…

글쓴이 Charlezz,

안드로이드에서 Custom Lint 활용하기

Lint란? Android 스튜디오에 있는 Lint라는 코드 스캔 도구를 사용하면 앱을 실행하거나 테스트 사례를 작성하지 않고도 코드의 구조적 문제를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도구에서 탐지된 각 문제는 설명 메시지 및 심각도 수준과 함께 보고되므로 개선이 시급한 순서대로 신속히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더보기…

안드로이드 클린 아키텍처

What is Clean Archtecture? 클린 아키텍처는 Robert C. Martin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그의 블로그 Uncle Bob에서 소개되었으며, 관심사를 계층별로 분리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철학이다.  클린 아키텍처의 주요 원칙은 코드 종속성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의존한다는 것이다.  내부 계층의 코드는 외부 계층의 기능을 알 수 없다. 외부 계층에 더보기…

Android의 Canvas에 그려보자 : 유용한 그래픽스 클래스와 기능들

원문 : https://medium.com/over-engineering/android-canvas-drawing-useful-graphics-classes-operations-2803e435e848 안드로이드 캔버스에 뭔가 그리는건 상당히 힘든 작업입니다. 많은 클래스와 개념들이 뭔가 그릴 때 이해를 돕기 위해 존재 합니다. 만약 이전 포스트를 읽지 않았다면꼭 먼저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 포함되어있고 캔버스를 사용할 때 유용한 몇몇 클래스들에 대해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