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in과 함께 하는 안드로이드 의존성 주입

Introduction Koin은 코틀린 개발자를 위한 실용적인 API제공을 하는 경량화된 의존성 주입 프레임워크입니다. (자바 개발자 또는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Dagger 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순수 코틀린으로만 작성되어있으며 프록시, 애노테이션 프로세싱을 통한 코드 생성, 리플렉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습니다. Android Gradle설정(https://github.com/InsertKoinIO/koin) def 더보기…

MotionLayout으로 만드는 안드로이드 애니메이션

MotionLayout으로 만드는 애니메이션 ConstraintLayout 2.0이 출시 되면서 MotionLayout이라는 새로운 레이아웃이 등장했습니다. MotionLayout은 ConstrainLayout을 상속한 레이아웃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동적인 화면을 구성합니다. 기존에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적용했었습니다. AnimatedVectorDrawable( 모핑 애니메이션 버튼 만들기 ) Property Animation LayoutTransition, (Animate layout changes using 더보기…

Constraint Layout – Part2. 뷰의 배치를 돕는 가상 오브젝트

Virtual Helpers objects(뷰의 배치를 돕는 가상 오브젝트) 지난시간 Part1에서는 ConstraintLayout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잡는 연습을 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ConstraintLayout에서 가상 오브젝트들에 사용을 통해 좀 더 다양한 레이아웃을 만드는 연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오브젝트의 종류에는 Guidline, Barrier, Group, Placeholder가 있습니다. Guideline 뷰의 위치를 더보기…

Constraint Layout – Part1. 만능 레이아웃

ConstraintLayout ConstraintLayout은 ViewGroup을 상속받아 확장시킨 라이브러리 입니다. 지난 2017년 2월에 1.0 버전이 출시되어 많은 개발자들이 이 라이브러리를 유용하게 써왔습니다. 출시때는 Android API9 수준까지 지웠했었는데요, 2.0부터는 API 14 수준부터 지원하게되었습니다. 사실상 API 14이상만되어도 안드로이드 전체 이용자 99.9%가 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특수한 더보기…

Android Final Architecture – (1) 개요

Final Architecture – (1) 개요 이 가이드는 이미 기초적인 안드로이드앱을 만들줄 알고, 조금 구조적인면에서 더 나은 앱을 만들기를 원하는 개발자를 위한 글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다보면 초기에는 어찌어찌 돌아는 가는데, 기능을 추가하고 업데이트를 하면 할 수록 유지보수가 힘들어 지는 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더보기…

Paging – DataSource 종류

2018 구글 I/O 에서 Paging라이브러리 발표이후 로컬(Room)로만 페이징을 했는데, Retrofit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나 Cursor를 통한 페이징을 할때는 DataSource를 직접 구현해줘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DataSource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테스트를 해본것을 정리하고자 한다. 1.PositionalDataSoure 첫번째로 PositionalDataSource는 Position기반의 데이터 로더로 셀수 있는 더보기…

글쓴이 Charlezz,

Activity 또는 Fragment는 언제든지 부서질 수 있다.

많은 개발자들이 처음 안드로이드 개발에 입문할 때 알게 되는것이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일 것이다. 컴포넌트만 잘 이해하고 개발해도 좋은 품질의 앱을 만들 수 있다고 자부한다. (정말? ㅇㅇ) 오늘은 UI컨트롤러(Activity or Fragment)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많은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이 놓치는 것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