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찰스의 안드로이드 컨퍼런스 후기

연사자를 비롯한 스태프분들은 이른 아침부터 리허설과 행사준비를 도와주셨습니다. 주말에 컨퍼런스 참여를 위해 오신분들을 위한 다과와 굿즈를 준비! 인프런에서 후원해주신 스티커! 감사합니다 😍 이지스퍼블리싱, 한빛미디어, 제이펍 에서 도서를 후원해주셨습니다. 행사에 참여 해주신 분들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비치했었죠. 다음 세션 준비하는 동안 인터뷰를 하고 책을 나눠드렸습니다 👐 많은 분들이 관심을 더보기…

안드로이드 앱 모듈화 가이드

모듈이란? 모듈(module)이란 앱을 구성하는 요소로, 관련된 소스 코드나 리소스 등을 하나로 묶는 단위다. 최근에는 앱 모듈에 모든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data나 domain 등의 모듈로 세분화 시켜 개발한 뒤 최종적으로 프로덕트를 만들 때 이러한 모듈들을 합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게 된다. 이런 방식을 모듈화 프로그래밍이라고도 한다. 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단일 더보기…

이미지 메타데이터 지오태깅(Geotagging) 제거하기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Exif 데이터는 조리개, 셔터속도, 초점 거리, 측광방식, ISO 설정 그리고 출력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상 정보등이 들어있다. 이와 더불어 카메라의 모델명, 등록번호, 위치 정보 등 다른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지오태깅은 웹사이트, 비디오, QR 코드, 이미지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지리적 식별 메타데이터를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이 더보기…

이미지 Exif(메타-데이터) 수정하기

Exif 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는 스캐너,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기록된 이미지(또는 오디오) 파일을 다룰 때 태그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포맷이다. 위 이미지에 나타나는 ‘출처‘, ‘규격‘, ‘기기 제조사‘, ‘위도‘, ‘경도‘ 등이 일반적으로 Exif형식의 내용이며, 이 메타데이터들은 이미지 파일 자체에 내장되어 있다. ExifInterface 안드로이드에서 ExifInterface는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의 Exif 더보기…

파일 시그니처로 파일 포맷 확인하기

간혹 파일 포맷을 먼저 확인하고, 그에 맞게 처리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포맷들 중 JPEG와 GIF를 구분하여 다르게 처리해야하는 경우, JPEG는 정적인 단일 이미지로 렌더링 하고 GIF는 이미지 스트림을 지원하므로 소위 말하는 움짤(Animated GIF)로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파일 포맷이 JPEG 또는 GIF인지 어떻게 확인하면 좋을까? 가장 더보기…

계측 테스트에서 리소스 불러오기

계측 테스트 코드 작성시 외부에서 리소스(파일)을 불러와야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의 절차를 따라 리소스를 불러 올 수 있다. 1. 리소스 디렉토리 파일 추가하기 계측 테스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모듈 하위에 다음과 같이 resources 디렉토리를 추가한다. 추가한 디렉토리에 원하는 리소스를 추가한다. 이 포스팅의 경우 test.jpg 파일을 추가 했다고 가정한다. 2. 리소스 경로를 더보기…

Android 14 미리보기

Android 14 미리보기 한국시간으로 오늘 새벽에 Android 14 Preview 가 공개되었다. Preview 단계라 아직 모든것이 확정된 내용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으로 이 포스팅을 작성한다. Android 14의 주요 변경 사항은 보안강화와 베터리 타임을 개선하는 내용이다. Android 14 릴리즈 일정 이제 Preview 1이 공개 된 것이고, Android 13 기준 8월 중순쯤 공개되었으니 더보기…

Compose의 CompositionLocal 이해하기

컴포저블 함수는 트리(tree)로 구성된다. 이 때 상태는 일반적으로 트리에서 가능한 한 가장 높은 노드에 선언되어야 한다(상태 호이스팅).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렇게 선언된 상태는 하위 트리로 전달되곤 한다. 하지만 트리에서 여러 단계를 통해 상태를 전달해야 할 때는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우선 컴포저블 함수 트리의 깊이(depth)가 n개라고 가정한다. 최상위 노드로부터 더보기…